top of page

연구의 윤리적 역사

  • 작성자 사진: Minwook Kang
    Minwook Kang
  • 2016년 4월 24일
  • 1분 분량

뉘른베르크 행동강령 (1947년8월)

- 나치시절 무분별한 인체실험을 재판할때 만들어짐

헬싱키선언

- 뉘른베르크보다 더 강력한 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. 인간실험체실험시

주의해야할 권고사항 정리

- 실험계획서는 독립적 위원회의 검토를 받야야함

- 연구는 이익과 위험을 비교해야하며 이익이 더 커야함

- 의사는 연구목적,방법, 기대되는 이익, 잠재적 위험을 알려야하며 언제든 참여를 회피할

수 있는 권리를 알려야하며 , 동의서를 받아야 한다.

- 미성년자, 장애인 등 취약계층은 반드시 법적 대리인의 동의 필요

- 피험자의 안녕은 학문적, 사회적이익보다 더 중시 되어야함

벨몬트보고서(1979)

- 터스키기사건(매독연구로 인간실험)을 계기로 발행

- 피험자를 보호하는 세가지 기본 윤리원칙 제공

1. 인간존중의 원칙(The Principle of Respect for Persons)

- 개인의 존엄성,자율성을 인정하고 자율권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특별한 보호를 제공

2. 선행의 원칙(The Principle of Beneficence)

- 연구의 위험성은 언제나 예상되는 연구이익에 의해 정당화 된다.

- 이익은 최대화 하면서 동시에 위해는 최소화 하여야 한다.

3. 정의의 원칙(The Principle of Justice)

- 피험자는 공정하게 대해져야 한다. 고의로 약자나 특정 인물을 선택해서는 안된다.

동물실험3R원칙

- Replacement(대체) : 무생물로 대체 하거나 계통도가 낮은 세포단위의 실험

- Refinement(개선) : 고통,괴로움을 없애거나 최소화 하는 방법 수용

- Reduction(감소) : 최대한 적은 개체로 많은 정보를 얻는다

Commentaires


추천 게시물
잠시 후 다시 확인해주세요.
게시물이 게시되면 여기에 표시됩니다.
게시글 목록
최근 게시물
보관
태그 검색
공식 SNS 페이지
  • Facebook Basic Square
  • Twitter Basic Square
  • Google+ Basic Square
bottom of page